[한반도 브리핑] 북한,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…미국 제재에 무력시위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 등을 되짚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역시 외교·안보 이슈와 북한 문제 등을 담당하는 지성림 기자와 함께합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지난주 수요일이죠, 새해 벽두부터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한반도 정세를 긴장시켰는데요, 이번 주에는 탄도미사일을 두 번이나 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오늘은 북한이 발사한 것이 어떤 종류의 미사일인지, 그리고 이렇게 잇달아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의도와 배경이 뭔지,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얘기할까 합니다.<br /><br />지 기자. 우선 주요 내용부터 간략하게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2022년이 시작돼 오늘로 딱 보름이 지나갑니다. 북한은 새해 들어 보름 만에 세 차례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두 번은 극초음속미사일 발사고, 어제는 열차 위에서 '북한판 이스칸데르'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지난주에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했는데, 왜 엿새 만에 또 같은 미사일을 발사했는지 얘기해볼까 하고요.<br /><br />그리고,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신규 대북제재를 발표하자 북한은 바로 다음 날인 어제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'더 강력한 반응'을 예고하고, 8시간 반 만에 열차 발사 탄도미사일을 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제재에 탄도미사일 발사로 맞대응한 건데요, 그런데 대미용 무력 시위라면서 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쐈을까, 그 의도도 짚어볼 겁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새해 벽두부터 미사일을 연달아 발사하는 게 꼭 대미용 목적만 있는지, 대내용 목적은 없는지도 살펴볼까 합니다.<br /><br />결국, 오늘은 미사일로 시작해서 미사일 얘기로 끝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선 이번 주 화요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우리 군 당국은 지난주에 발사한 것보다 진전된 것이라고 평가했는데요, 군 당국의 분석과 북한이 직접 공개한 미사일 제원을 설명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화요일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전 7시 27분경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미사일 비행거리는 700km 이상, 최대 고도는 약 60km, 최대 속도는 마하 10 정도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다음날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이라고 밝혔는데요,<br /><br />군 당국은 최대 속도 마하 10은 추진체가 최대 정점고도를 찍을 때까지의 속도일 뿐, 추진체에서 분리된 활공형 탄두부는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지 못했다고 판단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지난주에 발사한 것뿐 아니라 이번 주에 쏜 미사일에 대해서도 확실한 극초음속미사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다음날 북한이 발표한 내용은 좀 달랐습니다. 우선 북한 매체가 밝힌 미사일 제원과 특성을 직접 들어보시죠.<br /><br /> "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는 거리 600㎞ 계선에서부터 활공·재도약하며 초기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점 방위각에로 240㎞ 강한 선회기동을 수행하여 1,000㎞ 수역의 설정 표적을 명중했습니다. 최종 시험발사를 통하여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의 뛰어난 기동 능력이 더욱 뚜렷이 확증됐습니다."<br /><br />600㎞ 거리에서 추진체와 분리된 활공형 탄두부가 저점을 찍고 다시 재도약, 즉 다시 상승하는 상하 회피 기동과 함께 곡선 모양의 선회기동을 수행해 1,000㎞를 날아갔다는 얘깁니다.<br /><br />특히 화요일 시험발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관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신형 무기 시험발사를 참관한 것은 2020년 3월 '전술유도무기 시범 사격' 이후 약 2년 만인데요,<br /><br />이번에 특별히 참관한 것은 그만큼 극초음속미사일 개발 성공을 확신한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조금 전 들으신 것처럼 북한은 '극초음속미사일 최종 시험발사'에 성공했다고 강조했고, 김 위원장은 극초음속무기 개발에 참여한 과학자·기술자들에게 '특별 감사'를 전한 데 이어 이들을 평양의 노동당 본부청사로 불러 기념사진도 찍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런데 북한은 왜 '극초음속미사일'을 거듭 발사했을까요. 신형 무기를 개발하려면 시험발사를 여러 번 하는 건 당연하지만, 불과 엿새 만에 다시 발사한 거잖아요. 그 의도가 뭘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물론, 극초음속미사일과 같은 신형 무기 개발을 지속하는 것은 지난해 1월 노동당 8차 대회에서 제시한 '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'에 따른 것입니다.<br /><br />'자위적 국방력 강화' 정책에 따른 것으로, 주권국가의 권리라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이런 '명분' 말고도 북한이 노리는 대외적인 의도가 있는 것 같은데요, 우선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한 시점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한국 시간으로 지난 화요일 오전 5시경부터 북한이 지난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하는 비공개 회의를 열었는데요,<br /><br />북한은 유엔 안보리 회의가 시작된 지 약 2시간 반 만에 미사일을 쐈습니다.<br /><br />의도적으로 안보리 회의 시점에 맞췄다고 볼 수 있는데요, "당신들이 아무리 모여서 떠들어도 우린 계속 탄도미사일을 쏘겠다"는 입장을 확실하게 보여준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와 규탄에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미사일을 쏘는 것은 궁극적으로 '탄도미사일의 일상화'를 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사람이나 동물에게 같은 자극을 계속 주게 되면 처음에는 아프거나 짜증 나지만, 오랜 시간 반복되면 감각이 무뎌지는 것처럼,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국제사회가 무감각해지고, 비판이 줄어들기를 바라는 행태가 아니냐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렇게 함으로써 미국 등 국제사회가 자신들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도발로 규정하지 않도록, 즉 북한이 계속 주장하는 '이중 기준'을 적용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러한 전략적인 목표뿐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서 또 다른 의도도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을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 또다시 발사한 것은 지난주에 쏜 미사일에 대해 우리 군 당국이 "성능이 과장된 일반적인 탄도미사일", 즉 극초음속미사일이 아...